목록git (3)
Coding Note

개인 작업과 협업 시에 깃 활용법에 있어서 혼란이 생겼다. 다시 정리해서 정확히 알고 가고자 한다. Git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 장점 - 코드 변경 이력 확인 - 파일이 변경 이력 별로 저장됨 - 협업시 유용 - 포트폴리오로 사용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 협업 저장소 - Github Repository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 개인 저장소 - PC 저장소 생성 1. Github에서 저장소 생성 2. 원격 저장소 복사(Git Clone) 즉, 개인 작업 커밋시 원격 저장소를 클론 받아 오지 않고 바로 커밋한다. 올라져 있는 코드가 없기 때문에 클론 받을 필요 없음. 하지만 협업 시 타인..

1. Git git - 프젝 관리, 동기화 작업 영역 - 인덱스(Index) - 헤드(Head) - 3가지 박스를 동기화시키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 inti : 저장소 생성 git add . : 파일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git commit -m "메시지" : 깃 저장소에 업로드 git status : 깃 상태 확인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 : 깃 저장소 연결 git remote -v : 깃 연결 상태 확인 git push origin main : 메인 브랜치에 파일 업로드 git pull origin main : 업로드된 내용 가져오기 git checkout -b 브랜치명 : 브랜치 생성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 선..

1. git이란? - Tool - 소스 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툴 - 협업할 때 유용함 2. git Hub이란? - 코드 공유, 수정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 깃을 사용하는 서비스 3. git VS gitHub - 차이점 git gitHub - Local Repository - 로컬 저장소에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VCS) - Cloud Repository - 클라우드 방식으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VCS) - 자체 구축아님 - 오픈 소스 사용 4. SSH (Secure Shell) -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 + shell(정보처리기사 필기) - 커널의 중심 - 커널과 사용자간의 다리 역할 - 즉, 사람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함 1. git 설치 확인하기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