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데이터베이스 (3)
Coding Note

기능 개선하기 -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개선하기 - 세션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 사용하기 개발자들 사이에서 나쁜 코드란 같은 코드가 반복되는 걸 의미한다. 코드 반복 시 수정이 요구될 때 모든 부분을 하나씩 찾아가면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며 유지보수가 어렵다. 이전 프젝에서 기능을 개선해보자!! 반복 줄이기!! 1. @LoginUser 세션 값을 가져와야할때 반복을 줄이고자 config.auth 패키지에 어노테이션을 생성한다. - LoginUser package com.bs.book.springboot.config.auth; 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 import java.lang.an..

부트스트랩 이용하여 화면 구성하기! 부트스트랩, 제이쿼리 등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외부 CDN 사용 2. 직접 라이브러리를 받아서 사용 Q. 레이아웃 방식 - 공통역역을 별도의 파일로 분리하여 필요한 곳에서 가져다 쓰는 방식 1. 레이아웃 파일 만들기 src/main/resources/templates 디렉토리에 layout 디렉토리를 추가 생성한다. 디렉토리안에 footer.mustache, header.mustache 파일 생성 코드는 아래와 같다 - header - footer 페이지 로딩 속도를 높이기 위해 CSS는 header, JS는 footer에 두었다. js의 용량이 크면 body 부분의 실행이 늦어지기 때문에 js는 body 하단에 두어..

등록, 수정, 조회 API 만들기! API를 만들기 위해 총 3개의 클래스가 필요하다! 1. Request 데이터를 받을 DTO 2. API 요청을 받을 Controller 3. 트랜잭션, 도메인 기능 간의 순서를 보장하는 Service 1. Spring 웹 계층 Web Layer - 컨트롤러와 JSP/Freemaker 등의 뷰 템플릿 영역 - 필터, 인터셉터, 컨트롤러 어드바이스등 외부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전반적인 영역을 이야기함. Service Layer - @Service에 사용되는 서비스 영역 - 일반적으로 Controller와 Dao의 중간 영역에서 사용됨 - @Transactional이 사용되어야 하는 영역 Repository Layer - 데이터 저장소에 접근하는 영역 DTOs - DT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