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Coding Note
[정보처리기사] 접근통제 정책 본문
Access Control Policy
Access Control Policy
구분 | MAC | DAC | RBAC |
보안 주체 | 시스템 | 소유자 | 역할 |
통제 주체 | 보안 레이블 | 권한 위임 | 참조 모니터 |
사용자 통제 | 단순 | 복잡 | 유연 |
적용 대상 | 군대 | 기업 | 대기업 |
강제적 접근 통제_MAC(Mandatory Access Control)
- 보안 등급, 규칙 기반, 관리 기반의 접근 통제 방식
- 모든 주체 및 객체에 대하여 일정하여 어느 하나의 주체나 객체 단위로 접근 제한을 설정할 수 없음
ex) 카페에서 등급에 따라 접근 가능한 게시판이 정해지는 예
임의적 접근 통제_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 개인 기반 정책과 그룹 기반 정책 포함 방식
- 객체 접근하고자 하는 주체 접근 권한에 따라 접근 권한을 넘겨줄 수 있음
역할 기반 접근 통제_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 DAC와 MAC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
- 권한을 사용자가 아닌 그룹에 부여하고, 그룹이 수행하여야 할 역할을 정의함.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테스트 (0) | 2022.07.19 |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실기 3회 오답 (0) | 2022.07.13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실기 2회 오답 (0) | 2022.07.12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실기 1회 오답 (0) | 2022.07.11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_테스트 기법 (0) | 2022.07.05 |